본문 바로가기
생활/편의

새로생긴 사천시립 도서관 이용~

새로생긴 사천시립 도서관 이용해보니 몇 가지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첫째,도서관 폐관시간이 너무 짧다! 인근 사천읍이나 삼천포 도서관은 밤9:50분까지 운영하는데 여기는 5:50분쯤 차임벨 울리며 퇴실 안내방송 나옵니다. 비싼 세금(국비70억 포함 192억)으로 건물지어 낮 시간만 이용하고 일찍 문 닫는 다는건 세금 낭비 아닐까요? 그리고 직장에 다니거나 학교에서 수업 마치고 오는 학생들은 전혀 고려하지 않았는데 이유가 뭘까요? 둘째, 카페형 도서관 컨셉인지 일층 로비에 임대 커피숖도 있고 층별마다 개방형 구조에 4층에는 동아리방,회의실,사무실까지 다 갖추었는데 기존 다른 도서관에 다 있는 자유학습실은 예초부터 만들지 않았더군요. 자격증공부나,시험공부는 앞으로 스타디카페로 가라는 친절한 배려(?)일까요? 건물 구조의 개방감을 위해 낭비되는 면적이 많고 다수가 누려야 할 공간 활용성이 많이 떨어집니다. 4층의 동아리방이나 회의실도 아무나 원하는때에 이용 가능한 것도 아니고,허락을 얻고 쓸수 있는 공간인데 차라리 이런 시설보다 한 개층에는 적어도 기존처럼 자유학습실 설치가 더 낫지 않았을까요? 세째,도서관 앞에 기존 마을회관이 중간에 자리잡고 있어 부지면적에 비해 공간 활용도가 낮습니다. 주차면적이 턱 없이 부족해 불편한 점 많습니다. 애초에 설계과정에서 마을회관을 매입해 적당한 곳에 이전해 주었더라면 서로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 있습니다. ~~~~~~~~~~~~~~~~~~~~~~~~~~~~~~~^^^ 이상의 제 의견에 대해 여러분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조회 1,102
댓글 정렬
  • 알 수 없는 사용자
    삭제되었거나 존재하지 않는 댓글이에요.
    • 충무공동·

      사천요.

  • 용현면·

    자유학습실과 폐관시간 아쉽네요

  • 사천읍·

    1. 읍과 삼천포는 교육청 소속, 시립도서관은 문체부 소속입니다. 운영 부처가 다르다는 것을 먼저 알려드립다. 또한 사천도서관과 삼천포 도서관 자료실도 18시까지 운영됩니다. 2. 도서관의 역할은 정보를 보관하는 곳입니다. 자유열람실 하나 만들 공간에 자료 보관하는 장소를 하나 더 만드는게 도서관 취지에 맞겠네요. 시립도서관이니 사천과 관련된 자료도 필수로 모아야하구요. 자유열람실은 못 살던 시절 공부할 수 있도록 배려를 한 공간이었습니다. 3. 거기가 땅 값이 그나마 싸서 그렇습니다. 마을회관 매입하고 옮기고 짓고 하면 세금이 더 많이 들겁니다.

    • 사천읍·

      세종국립도서관 건설 시기와 규모를 생각하고 말해주세요~ 도서관 건설 트랜드는 2015년부터 바뀌고 있답니다🤫 전공자라서 말해드립니다 징징 될꺼면 세금 60%내기^^

    • 사남면·

      사용자가 누군지에 대한 고민이 없는것 같다는 측면에서 말한겁니다. 전공자라면 도서관 관계자 쯤 되겠군요. 사천이라는 지역의 정보접근성이 공간부족성등을 타도시와 비교해서 활용방안을 고민했는지 궁금하네요

    • 사천읍·

      사천 온지 얼마 안됐나보네요 사천 거지동네임 ㅋㅋ땅 살 돈도 없을때 문재인시절에 지원해줘서 겨우 지은거임

    • 사남면·

      1.운영주체가 다르다는 것이 도서관 페관시간,공간분활의 주된 이유가 됩니까? 그리고 내가 언제 도서관 자료실 운영시간이 짧아서 유감이라고 말했나요? 도서관 관계자도 아니면서 엉뚱한 답글로 본질을 회피하지 마세요! 2.도서관의 역활이 "정보 보관"이라고요? 관련학과 나오신분 맞습니까? 정보보관은 역사기록관에서 열심히 하고 있어요.~^^ 전근대 이전도서관들은 님 말대로 정보의 기록,수집이 목적이었지만 근대 이후로는 단순 정보의 보관소가 아닌 정보전달자이고 지식발전소로 변신하게 되었어요.누구나 와서 무료로 원하는 지식을 배우고 갈고 닦는 평생학습의 장으로 바뀌었답니다. 자유열람실,학습실이 못 살던 시대의 유물이라고요? 그럼 인근 진주 연암,서부시립,고성,남해 도서관들과 삼천포 도서관 전부 못살던 시대의 유물 입니까? 그리고 자유열람실,학습실을 없애고 1층로비의 커피솦,4층의 회의실,동아리방을 만들 가치가 있었는가?에 대해 찬반투표를 한다면 나는 반대가 더 높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누구나 새로 짓는 공공시설물에 대한 기대감과 개인적 선호도를 가질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 사용층이 누구가 될지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없다면 세금낭비에 지나지 않습니다!

  • 사천읍·

    도서관 본연의 기능인 자료의 수집, 정리하여 이용자가 손쉽게 이용하게 하는것에 충실한 것입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그 본연의 기능에 충실하기위해 대부분 열람실을 최소화하거나 만들지 않는 도서관이 많습니다.

  • 용현면·

    안내 내용 잘 읽었습니다~

  • 사남면·

    세종국립도서관도 9시까지 열람실을 열고 있는데요. 사용하는 대상자가 누구인가에 따라 운용시간을 정하겠지요. 사천은 그런 고민이 없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열람실을 못살던 시대의 배려였다는 윗분 댓글이 참신하네요.

    • 사천읍·

      문헌정보학과 교수들은 죄다 저리 말하던데... 교수들이 참신하다 그죠🫢

    • 사남면·

      타인의 의견에 비아냥 대는 사람은 아무리 지식이 많아도 외면 받습니다. 지금도 누군가는 낮에 공장다니며 저녁에 도서관에서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 있습니다. 못살던 시대에 그러했듯이~

    • 사남면·

      문헌정보학과 교수가 그리 말했다면 더더욱 교수로서 자질이 의심스럽네요.

  • 탈퇴 사용자

    위치는 아는데 가보지는 않았네요 ㅎ

  • 정동면·

    사천은 뭐든 몇개씩 아쉽네요

  • 월평1동·

    시립도서관 제외하고 공공시설 대여공간 거의 없다고 봐야합니다 몇 개 있더라도 유료로 대여해야하고 안내도 잘 안 되어있구요... 차라리 시립도서관에 자유학습실은 적어도 회의실이 존재하는게 전체 균형적으로는 맞다고 봅니다

  • 빛가람동·

    폐관시간 심하네요. 공공일자리 만들려고 억지로 예산편성하던데, 도서관에 야간근무 기간제 근로자 두고, 운영시간 늘렸음 합니다.

  • 정동면·

    헉 자유학습실있을줄 알고 가볼려고했는데 없다니 넘 아쉽네요 ㅠㅠ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당근에서 가까운 이웃과 함께해요.
지금 바로 다운로드하기
Download on the App StoreGet it on Google Play